본문 바로가기

내일배움캠프28

내일배움캠프 TIL - Spring MVC 이모저모 스프링 강의를 수강하면서 스프링에대해 하나하나 알아가고 있다. 그중 하나가 SpringMVC라는 것으로 카테고리가 하나가 있다. 기본적으로 MVC라는 것은 Model View Controller라는 구조로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한 디자인 패턴 중 하나이다. 이렇 듯 Model View Controller는 각자의 역할을 맡아 소프트웨어를 구성하게 된다. Model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한다..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View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사용자가 보는 화면과 버튼, 폼 등을 디자인하고 구현한다. Controller Model과 View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정하고 제어한다.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Model에 전달하고, Model의 .. 2024. 1. 18.
내일배움캠프 TIL - Gradle에 관해서 스프링 입문강의를 시작하면서 인텔리 제이를 이용하여 Spring Initializr로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Type이라는 설정에서 Gradle-Groovy, Gradle-kotlin, Maven 이라는 선택지가 있다. 나는 여기서 Gradle이라는 것을 처음보게되었는데. 이 Gradle이라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겠다. Gradle이란 무엇인가? Gradle이란 Gradle은 빌드 자동화 시스템이다. 우리가 작성한 Java 코드를 설정에 맞게 자동으로 Build해준다.. Build란 소스 코드를 실행 가능한 결과물로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뜻한다. Gradle을 사용하면 간편하게 Java 소스 코드를 실행한 가능한 jar 파일로 만들어 준다. build.gradle build.gradle은 Gr.. 2024. 1. 17.
내일배움캠프 12일차 TIL - Java stream 간략하게 알아보기 오늘의 키워드 Stream, filter, forEach(), map() 오늘 배운 내용 정리 스트림은 Java8부터 제공되는, 한번 더 추상화된 자료구조와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API를 제공한 것이다. 자료구조를 한 번 더 추상화 했기 때문에, 자료구조의 종류에 상관없이 같은 방식으로 다룰 수 있다. 쉽게 비유 하자면, 자료구조의 "흐름"을 객체로 제공하고, 그 흐름 동안에 사용할 수 있는 메서드(행위)들을 api로 제공해주고 있다는 것이다. 쉽게 더 설명하면 자료구조(리스트, 맵, 셋 등)의 흐름이라고 비유하면 된다. 특징 원본의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는다. 자바 컬렉션으로부터 스트림(해당 컬렉션의 흐름)을 받아서 한 번 사용한다. 일회용이다. 한 번 사용한 스트림은 어디에도 남지 않는다. 예시 L.. 2024. 1. 9.
내일배움캠프 11일차 TIL - 제너릭에 대하여 오늘의 키워드 Generic, 타입 오늘 배운 내용 정리 Generic 제너릭이란 단어는 사전적 의미로는 포괄적인 , 총칭의 , 일반적으로 라는 의미가 있다. 자바에서의 Generic이란 중복되거나 필요없는 코드를 줄여주는 것, 데이터 형식에 의존하지 않고, 값이 여러 다른 타입들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타입을 클래스 내부에서 지정하는 것이 아닌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것이다. 보통 자바스크립트나 파이썬과 같은 약타입 언어에서는 타입을 지정해 줄 필요가 없기에 하나의 함수만 구현하면 끝이다. 더보기 function plusReturnFunction(a, b) { return a + b; } const a = 1; const b = 2; const c = 1.1; const d = "he.. 2024. 1. 8.